Permanent Exhibition


상설전은 컬렉션 미술관인 구하우스의 소장품으로 이루어진 전시로, ‘집 같은 미술관’을 컨셉으로 미술과 디자인 작품들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작가의 회화, 조각, 사진, 설치, 영상 등 다양한 장르의 컨템포러리 작품과 더불어 가구와 조명, 거울 등 디자인 작품들이 일상 생활 공간 같은 전시장에서 어우러져 펼쳐집니다.

이정민, window, 2015, LED screen, powerpoint animation, 1 minute and 23 seconds, H25.5 × W16.3 × D2.6 cm

이정민 작가의 애니메이션 작업은 주로 파워포인트 툴을 이용한 것이다. 대학교 때 프레젠테이션을 많이 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해당 프로그램을 자주 사용한 것이 계기이며, 상대적인 시간과 공간 그리고 움직임을 표현하고 있다.

작품 <창문>은 창문에 선이 그려지며 창살이 완성되고, 블라인드가 내려온 후 의자가 바닥으로 하강한다. 이후 블라인드가 올라가며 빛이 들어와 그림자가 생기고, 잠시 뒤에는 창문이 약간 어두워지고 책장과 책이 순서대로 떨어진다. 완전히 깜깜해진 이후에 다시 의자와 펼쳐진 서적이 차례대로 내려온다.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창과 그로부터 들어오는 빛과 책장의 변화를 간결하면서도 명료한 이미지들의 연속으로 표현한 것이다. 사운드가 배제되어 조용히 시각적으로 시간성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세로가 길고 가로가 짧은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Jungmin Lee's animation works primarily utilize the PowerPoint tool. She began using this program frequently during university presentations, which naturally led her to explore its potential for depicting relative time, space, and movement.

The work "Window" depicts a sequence where lines are drawn on a window, forming a lattice, followed by the blinds descending and a chair lowering to the floor. As the blinds rise, light enters, casting shadows, and shortly after, shelves and books fall in sequence. After complete darkness, chairs and unfolded books descend one by one.

This piece succinctly and clearly represents changes in windows over time, the light entering through them, and the transformation of shelves through a series of concise and clear images. Sound is omitted, allowing for a quiet visual experience of temporality, which influenced its structure, characterized by tall vertical rectangles and short horizontal ones.




이정민  Jungmin Lee (1981~, 한국/Korea)


이정민 작가는 홍익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조소를 전공했다. 작가는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작업을 통해 자신의 일상과 관련된 공간에 대해 재구성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사소한 일상의 경험에서 시작하는 작가의 작업은 주관적인 시간의 흐름과 공간에서 사물이 특별하게 인식된 순간을 포착해 독특한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Jungmin Lee majored in sculpture at both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at Hongik University. The artist engages in reinterpreting spaces related to their daily life through animation works using the PowerPoint program. Starting from mundane experiences of daily life, Lee captures unique moments where objects are perceived distinctly within subjective flows of time and space, creating distinctive images.